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4년 시흥시 지명의 유래, 행정구역 현황, 인구수

by greenloan 2025. 4. 6.

시흥기 걷는 사람들

 

시흥시 지명의 유래

시흥(始興)이라는 지명은 '일어선다', '흥한다'는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고구려 시대에는 '잉벌노'로 불렸으며, 이는 '뻗어 나가는 땅'을 의미합니다. 통일신라 시대에는 '곡양'으로 불렸고, 고려 시대에 들어서 '시흥'이라는 명칭이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지명 변천은 지역의 역사적 배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시흥시의 행정구역 현황

현재 시흥시는 20개의 행정동과 31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행정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 대야동
  • 신천동
  • 은행동
  • 과림동
  • 정왕본동
  • 정왕1동
  • 정왕2동
  • 정왕3동
  • 정왕4동
  • 월곶동
  • 군자동
  • 월곶동
  • 목감동
  • 신현동
  • 매화동
  • 연성동
  • 장곡동
  • 능곡동
  • 하상동
  • 하중동

이러한 행정구역은 도시 개발과 인구 증가에 따라 조정되어 왔습니다.

 

동별 인구수 순위 및 변화 추이

2024년 기준 시흥시의 총인구는 약 58만 명으로 집계되었습니다. 각 동별 인구수와 최근 30년간의 변화 추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순위 동명 1994년 인구 2024년 인구 인구 증가율

1 정왕동 50,000명 120,000명 140%
2 대야동 30,000명 70,000명 133.3%
3 신천동 25,000명 60,000명 140%
4 은행동 20,000명 50,000명 150%
5 목감동 15,000명 40,000명 166.7%

위 표는 예시이며, 실제 데이터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시흥시는 지난 30년간 급격한 인구 증가를 경험하였으며, 특히 정왕동과 대야동의 성장이 두드러집니다. 이는 시화국가산업단지 조성 등 산업 개발과 주거 지역 확대에 따른 결과로 분석됩니다.

 

결론

시흥시는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지명을 가지고 있으며, 지속적인 발전을 통해 인구와 도시 규모 면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어 왔습니다. 향후에도 이러한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도시 계획과 정책 수립에 있어 이러한 인구 동향을 면밀히 분석하고 반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