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4년 남양주시 이름유례, 동별 인구수, 면적

by greenloan 2025. 4. 7.

남양주 출근하는 사람들 모습

 

남양주시 이름 유래와 행정구역 현황

남양주라는 이름은 고려시대 ‘남양도호부’에서 유래합니다. 이후 조선시대에도 ‘남양’이라는 명칭이 유지되다가, 1980년대에 '양주군 남면'과 '진건읍', '와부면' 등을 통합하며 ‘남양주시’로 출범하게 되었습니다.

남양주시에는 현재 ‘구’ 단위는 없으며, 16개 행정동과 7개 읍·면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행정구역은 지속적으로 세분화되고 있으며, 특히 왕숙 신도시 조성과 함께 향후 ‘구’ 체계로의 전환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습니다.

 

2024년 동별 인구수 및 면적 순위

2024년 기준, 남양주시의 전체 인구는 약 760,000명으로 집계되었으며, 동별 인구수 상위 지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순위 행정동명 인구수(명)

1 별내동 82,145
2 다산1동 67,202
3 다산2동 59,836
4 진접읍 55,281
5 평내동 50,947

한편, 행정구역 면적 기준으로는 외곽 지역이 넓은 편입니다.

 

순위 읍·면·동 면적(㎢)

1 진접읍 47.27
2 오남읍 36.04
3 진건읍 34.70
4 화도읍 31.17
5 별내동 22.09

 

 

남양주시 인구 변화 추이 (1994~2024)

남양주시는 1994년 인구 약 25만 명에서 2024년 약 76만 명으로, 30년간 3배에 가까운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신도시 개발과 광역교통망 확장이 인구 증가의 핵심 원인입니다.

연도 인구수(명) 주요 변화

1994 252,738 시 승격 초기
2004 407,292 별내, 진접 개발 시작
2014 609,824 다산신도시 개발
2024 759,819 왕숙신도시 예정

특히 2010년대 중반부터 다산동, 별내동을 중심으로 고밀도 주거지 개발이 급격히 진행되며 인구가 집중됐습니다.

 

신도시 중심의 성장, 다음 단계는?

남양주시는 이름 유래부터 행정 체계, 그리고 인구 구조까지 빠르게 진화하는 도시입니다.
다산·별내·왕숙 등 신도시 개발로 인해 주거 기능이 크게 강화되었고, 이는 인구 분포에도 고스란히 반영되고 있습니다.
향후엔 교통 중심도시로의 발전과 함께 자족 기능 확보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행정구 체계 전환과 산업기반 확대 등도 중요한 과제가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