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시 이름의 유래
구리시는 대한민국 경기도에 위치한 도시로, 한강과 왕숙천이 만나는 지리적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러한 위치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도시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구리시의 명칭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양주군 구지면(龜旨面)과 망우리면(忘憂里面)을 통합하면서, '구지면'의 '구(九)'와 '망우리면'의 '리(里)'를 결합하여 '구리면(九里面)'으로 명명된 데서 유래합니다.
행정 구역 및 동별 인구 현황
구리시는 8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동의 인구와 면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행정동면적 (㎢)인구수 (명)세대수 (가구)
갈매동 | 3.97 | 30,098 | 12,017 |
동구동 | 7.38 | 36,464 | 13,748 |
인창동 | 2.04 | 22,913 | 9,233 |
교문1동 | 7.56 | 15,724 | 8,308 |
교문2동 | 1.15 | 21,323 | 7,912 |
수택1동 | 1.26 | 15,453 | 7,834 |
수택2동 | 0.62 | 25,090 | 11,915 |
수택3동 | 9.34 | 21,145 | 9,391 |
최근 30년간 인구 변화 추이
구리시의 인구는 1990년 약 10만 명을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0년에는 약 19만 명에 도달했습니다. 그러나 이후 인구 감소 추세를 보이며, 2023년에는 약 18만 명으로 집계되었습니다.
결론
구리시는 독특한 지명 유래와 함께, 각 동별로 다양한 인구 및 면적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최근 30년간의 인구 변화를 통해 도시의 발전과 변화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는 향후 도시 계획 및 정책 수립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