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동북부 학군의 강자, 중계동을 재조명하다
서울에서 강남 대치동 못지않은 교육 열기를 보이는 지역이 바로 중계동입니다.
30년 전만 해도 평범한 주거지였던 이곳은 이제 명문고 진학률 높은 학군지로 자리 잡았죠.
이번 글에서는 중계 이름유례, 인구 수, 학원 수, 그리고 학군지로 성장한 배경을 통해 중계동의 변화를 깊이 있게 들여다보겠습니다.
중계 이름유례: 골짜기를 따라 흐르던 물길에서 유래
‘중계(中溪)’라는 지명은 **중앙(中)에 위치한 계곡(溪)**에서 비롯되었습니다.
과거 이 지역은 중계천이 흐르며, 주변으로 작은 마을과 논밭이 펼쳐졌습니다.
행정동 명칭으로서의 ‘중계동’은 1975년 노원구가 서울에 편입되며 정착되었고,
이후 대단위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면서 교육 중심지로 빠르게 변화했습니다.
2024년 중계 인구 수: 1명 단위로 정밀 분석
2024년 기준 서울 노원구 중계동의 총 인구는 81,221명입니다.
총인구 | 81,221명 |
남성 | 39,893명 |
여성 | 41,328명 |
세대 수 | 30,449세대 |
평균 연령 | 45.1세 |
중계동은 노원구 내에서도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 동 중 하나이며,
학령기 아동 비율이 여전히 높은 점이 학군지로서의 경쟁력을 반영합니다.
중계동 학원 수 및 분포 현황
2024년 기준 중계동 내 등록 학원 수는 총 642개소입니다.
중계역, 학원사거리, 은행사거리 일대를 중심으로 교육상권이 형성되어 있으며,
서울 동북권 학부모들의 주요 선택지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전체 학원 수 | 642개 |
입시 전문 학원 | 428개 |
예체능·언어 학원 | 214개 |
특히 수학·과학 심화학습과 내신 관리에 특화된 학원이 많아 **“강북의 대치동”**이라는 별칭도 갖고 있습니다.
중계가 학군지로 성장한 이유 3가지
- 대규모 아파트 단지 중심 도시계획
1980~90년대 대단지 아파트 공급과 함께 공립 초·중·고교가 체계적으로 배치되었습니다. - 명문 중·고교 인접 (영신여고, 대진고 등)
서울 북부에서 상위권 대학 진학률 높은 학교들이 중계동에 밀집되며 교육 수요가 집중됐습니다. - 노원구청의 교육 특구화 전략
노원구는 중계동을 중심으로 ‘교육도시 노원’ 브랜드를 강화하며 교육 인프라 투자와 프로그램을 지속 확대했습니다.
중계동, 서울 동북부의 입시 전략 요충지
중계동은 자연지형과 행정개편, 도시계획이 결합되며 30년간 학군지로 탈바꿈한 대표 사례입니다.
2024년 기준 인구 81,221명, 학원 642개소는 우연이 아닌, 교육 중심 도시로서의 구조적 결과입니다.
서울 동북부에서 입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전략적 거주지를 고민한다면, 중계동은 여전히 유효한 선택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