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수원시 이름유례, 각각의 구 수, 동별 인구수 순위 및 변화 추이 분석

by greenloan 2025. 4. 6.

수원시를 행복하게 걸어다니는 행인들

 

경기도의 중심 도시인 수원시는 행정, 교육, 문화 등 다양한 기능이 융합된 광역도시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행정중심지'로만 알기엔 그 배경이 꽤나 깊습니다. 수원의 이름 유래부터 현재의 인구 구조까지, 이 도시는 역사와 현대가 공존하는 공간이죠.

이번 글에서는 수원시 이름유례, 각각의 구 수, 동별 인구수 순위 및 변화 추이 분석을 키워드로, 2024년 최신 통계를 기반으로 수원의 변화를 1명 단위로 정리해보겠습니다.

 

수원시 이름 유례는?

수원(水原)은 글자 그대로 ‘물이 풍부한 벌판’이라는 뜻을 지닙니다. 조선 시대 이전엔 수성(水城)·화성(華城) 등으로 불리다가 1413년 태종 때 수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정조 대왕이 화성을 축조하면서 도심 기능이 집중되었고, 수원은 이후 경기도 남부의 중심 도시로 성장했습니다.

 

2024년 기준 수원시의 구 수와 인구 현황

수원시는 현재 4개의 자치구(장안구, 권선구, 팔달구, 영통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구의 면적과 인구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 면적(㎢) 인구수 (2024년 기준)

장안구 33.17 305,166명
권선구 47.10 360,138명
팔달구 12.86 213,398명
영통구 27.70 341,733명
합계 121.00 1,220,435명

 

동별 인구수 TOP 5 (2024년 기준)

수원시는 총 44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래는 인구수가 많은 상위 5개 동입니다.

 

순위 동명 인구수

1 매탄3동 (영통구) 39,726명
2 정자3동 (장안구) 37,412명
3 서둔동 (권선구) 34,581명
4 인계동 (팔달구) 33,918명
5 광교1동 (영통구) 32,745명

이러한 분포는 교통, 주거 환경, 교육 인프라 등의 영향을 강하게 받습니다.

 

 

1994년~2024년 수원시 인구 변화 추이

 

지난 30년간 수원시는 꾸준한 인구 증가를 보여왔습니다. 아래 표는 전체 인구의 연도별 추이를 요약한 것입니다.

 

연도 총인구수

1994년 540,685명
2004년 1,040,210명
2014년 1,160,958명
2024년 1,220,435명

영통구와 권선구의 인구 증가는 광교신도시 및 수원역세권 개발 등 대규모 도시계획이 크게 영향을 끼쳤습니다. 반면, 구도심인 팔달구는 소폭 감소하거나 정체 상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결론

수원시는 ‘물의 도시’라는 이름처럼, 유서 깊은 배경을 갖고 있습니다. 행정구역이 4개 구로 체계화되면서 도시 운영 효율이 높아졌고, 인구 또한 지난 30년간 꾸준히 증가해 왔습니다.

이제 수원시는 단순한 경기도의 도시를 넘어, 미래 스마트 도시의 모델로 발돋움 중입니다. 이 글이 수원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데 작은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