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는 남도의 중심 도시로 잘 알려져 있지만,
최근 광주광역시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된 몇몇 구와 동네들을 실제로 여행하며 느낀 점이 있었습니다.
관광객 입장에서 마주한 조용한 거리, 문 닫은 가게, 사람이 드문 골목은
단순한 ‘한산함’을 넘어 도시 활력의 부재처럼 느껴졌습니다.
1. 광주광역시 인구감소지역, 어디가 문제인가?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광주 내에서도 특히 남구 일부, 북구 외곽, 광산구 농촌지역 등은
실제 인구 유출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제가 실제로 방문했던 남구 주월동 뒷골목은,
예전엔 번화했던 길이었지만 지금은 빈 상가와 어두운 간판이 많았고,
편의점조차 폐점한 지역도 있었습니다.
이러한 광주광역시 인구감소지역에서 눈에 띄는 공통점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젊은층 이탈: 청년 유입은 거의 없고, 고령화 가속
노후된 주거환경: 아파트나 주택 상태가 전반적으로 열악
상권 붕괴: 기본적인 생활 편의시설도 점점 사라짐
관광객 입장에서도 편의시설이 부족해 불편했고,
‘여기서 하루 묵고 가도 괜찮을까?’라는 생각이 들 정도였습니다.
2. 관광객의 눈으로 본 문제점
항목 체감 문제
도심 접근성 대중교통 배차 간격 길고 불편
거리 환경 낙후된 간판과 방치된 쓰레기
문화 콘텐츠 지역 축제·관광 요소 부재
안전 인식 밤에는 어두워 이동 꺼려짐
광주광역시 인구감소지역은 단순히 거주자만의 문제가 아니라
관광객에게도 불편함을 느끼게 하는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특히 문화시설이나 커뮤니티 공간의 부족은
지역 자체에 활기를 불어넣지 못하고 있다는 느낌이 강했습니다.
3. 해결책: 지역 활력 회복은 가능할까?
-지역형 청년 창업 지원으로 유입 유도
-소규모 숙소·카페 유치로 거리 활성화
-문화행사, 플리마켓 정기 개최
-공공디자인·조명 개선으로 체감 환경 향상
저는 북구 한적한 지역에 위치한 한 게스트하우스에서 묵었는데,
그곳은 마을 공방과 협업해 꾸준히 소규모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고,
이 덕분에 관광객도 늘고 마을 분위기도 확실히 밝아졌다고 하더라고요.
이처럼 광주광역시 인구감소지역은 적극적인 소프트 콘텐츠와 커뮤니티 기반으로
충분히 회복 가능한 잠재력을 갖고 있습니다.
광주처럼 문화적, 역사적 자원이 풍부한 도시에서
광주광역시 인구감소지역이 생긴다는 건 단순히 사람의 문제가 아니라,
도시의 미래 자산을 놓치는 일입니다.
관광객 입장에서도 ‘머물고 싶은 곳’, ‘걷고 싶은 거리’가 되기 위해선
단순한 개발이 아닌 사람 중심의 회복 전략이 중요하다고 느꼈습니다.
광주가 다시 사람으로 붐비는 도시가 되길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