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광명시 각각의 구 수, 동별 인구수 순위 및 변화 추이 분석

by greenloan 2025. 4. 6.

서울과 맞닿아 있는 광명시는 그 지리적 이점 덕분에 지속적으로 도시가 확장되고 있습니다. 30년 전과 비교하면 동별 인구는 큰 변화를 보이고 있고, 특히 재개발과 신도시 조성이 진행된 지역 중심으로 인구 분포가 재편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광명시 각각의 구 수, 동별 인구수 순위 및 변화 추이 분석을 통해 2024년 기준 인구현황을 1명 단위까지 정밀하게 살펴보고, 최근 30년간 어떤 인구 이동이 있었는지도 도표와 함께 분석합니다.

 

광명시 구 수 및 행정동 구조

광명시는 자치구가 아닌 일반시로 구는 존재하지 않고, 행정동 기준으로 지역이 나뉩니다. 현재 총 18개의 동이 존재합니다.

유형 행정구역 수

읍·면 없음
행정동 18개

 

 2024년 광명시 동별 인구수 순위

 

2024년 1월 기준, 광명시의 총인구는 약 266,000명입니다. 인구수 기준 상위 10개 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순위 행정동 인구수(명)

1 소하2동 51,210
2 하안1동 22,184
3 철산3동 21,300
4 광명3동 20,245
5 하안2동 19,983
6 광명7동 19,402
7 철산1동 18,532
8 소하1동 16,866
9 철산4동 15,485
10 학온동 2,212

 

광명시 최근 30년 인구 변화 추이

1994년 광명시의 총인구는 약 314,000명이었습니다. 이후 인구는 줄곧 감소 추세를 보이다가, 최근 소하동·광명뉴타운 등 개발 지역을 중심으로 부분적 반등이 있었습니다.

 

연도 총인구 주요 변화 요인

1994년 314,000명 고도성장기, 하안주공 전성기
2004년 293,000명 재건축 전철화, 철산 이주 시작
2014년 284,000명 철산동 재개발 본격화
2024년 266,000명 소하2동 중심 인구 회복세

 

지역별 인구 증감 요인 비교

행정동 인구 증가/감소 주요 원인

소하2동 ▲ 증가 신축 아파트 집중 공급, 도로망 정비
철산4동 ▼ 감소 재건축 이전 이주로 인한 공백
하안4동 ▼ 감소 고령화, 청년층 외부 유출
광명7동 ▲ 증가 광명뉴타운 재개발 완료로 인한 유입
학온동 → 정체 개발 제한구역, 주거 공급 없음

 

결론

2024년 기준으로 본 광명시는 과거와 현재의 도시 성격이 뚜렷하게 갈라집니다. 일부 지역은 개발로 인해 인구가 유입되고 있지만, 구도심 지역은 여전히 이탈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특히 소하2동은 현재 광명시 내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보유하며 새로운 중심지로 떠올랐습니다.

광명시는 앞으로도 재개발과 3기 신도시 인근 지역 확장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도시 계획에 있어 정확한 인구 흐름 분석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될 것입니다.